본문 바로가기

프라모델269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6 주방세제로 씻고 잘 말린 다음, GSI의 블랙 서페이서로 밑칠을 했습니다. 이틀 정도 건조후에 2000번 사포에 물을 묻혀서 살살 다듬고 다시 서페이서를 올렸습니다. 이번에 처음 써 본 쿵스의 유광블랙입니다. 요즘 자동차 모형의 대세는 우레탄 도료인듯 하지만, 개인적으로 그닥 좋아하질 않기 때문에 락카도료 중에서 여러가지를 써보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습니다. 일단 써보니 광택은 대단히 좋긴 좋습니다. 한데 문제는 건조시간이 길다보니까 그동안 자잘한 먼지들이 앉아버렸습니다. 사용법을 보면 3일 이상 건조를 권장하는데, 유리진열장 안에 넣어두는 정도로는 부족한것 같습니다. 다음엔 큰 밀폐용기 같은걸 준비해봐야겠습니다. 별 수 없이 컴파운드로 잘 문질러서 먼지를 최대한 떨어내보았습니다. 그러고나서 다시 도색. .. 2021. 7. 22.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5 차체를 만들때는 항상 패널라인을 따라서 철필로 긁어주고 시작합니다. 특히 오래된 키트의 경우엔 몰드가 얕아진 경우가 있어서 꼭 하고 넘어갑니다. 구성이 단조로운 키트지만 911시리즈 중 최초로 가변스포일러를 채용했다는 상징성 때문인지 그 부분을 선택식으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매끈한 뒷태를 더 좋아하기 때문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911의 상징같은 개구리눈 부분에는 파팅라인이 뚜렷합니다. 사포질해야지요. 범퍼 부분에도 파팅라인이 꽤 깊습니다. 단차가 심한 편이어서 퍼티를 써야만 했습니다. 400 > 800 > 1000 순서로 열심히 사포질을 했습니다. 주방세제를 치솔에 묻혀서 골고루 잘 닦아준 다음에 키친타월 위에서 말리면 색칠준비 끝입니다. 2021. 7. 20.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4 고맙게도 운전석은 좌우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영국이나 일본차가 아니고 포르쉐니까 당연히 좌핸들로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뒷좌석과 옆면까지 통채로 욕조형태로 성형되어서 디테일은 그럭저럭입니다. 시트가 통짜인것 치고는 두께가 나쁘지 않네요. 다만 단차는 꽤 있는 편입니다. 기어봉과 사이드 브레이크는 미리 접착했습니다. 실내는 그냥 반광검정 단색입니다. 명암이라도 넣을까했지만 실차사진도 별 차이가 없어서 그냥 넘기기로 했습니다. 키트가 오래되어서 데칼이 갈라지지는 않을까 걱정했는데 다행히 잘 붙었습니다. 버튼류에는 타미야 에나멜 XF-16으로 살짝 드라이브러싱을 해서 도드라져 보이게 했습니다. 스피커가 데칼로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해놓은 상태에서 무광 클리어로 코팅을 하고 나서 조립했습니다. .. 2021. 7. 16.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3 휠부품은 평범한 후지미식 구성입니다. 은색이 그렇게 광이 나지는 않아서 다시 색칠할까 하다가 그냥 쓰기로 했습니다만 그래도 휠과 타이어를 분리했습니다. 타이어 부분의 지느러미를 떼어내기 위해서입니다. 굳이 떼어내는 이유는 1/24 정도의 작은 스케일에서는 이것 때문에 차가 공중에 붕 떠있는 것처럼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니퍼는 날의 형태상 적당하지 않고 옆면이 일자로 되어있는 모형용 니퍼가 좋습니다. 타미야의 패널라인 도료로 볼트 부분에 먹선을 넣고, 가운데 부분의 데칼을 붙였습니다. 데칼의 접착력은 좋은데 유독 얇아서 조금 까다로왔습니다. 앞바퀴 부분의 조향은 너무 헐겁지도 뻑뻑하지도 않게 잘 되네요. 지난 제작기에서 말한 은색으로 드라이브러싱한 결과입니다. 차체가 꽤 낮네요. 이 부분이 마음에.. 2021. 7. 14.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2 원래는 모든 부품이 흰색으로 사출되어 있었습니다. GSI 락카 33번 무광검정을 에어브러싱 했습니다. 다른 하부부품들도 검은색이 기본입니다. 스프링은 은색 에나멜을 드라이 브러싱 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입체감이 살아납니다. 기본색만 색칠하면 좀 심심해 보이니까 은색계열 에나멜들을 이용해서 도드라져 보이게 했습니다. 로워암 부분은 원래 은색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그냥 은색만 칠하면 검은색 부분과 너무 차이나기 때문에 테스터스 에나멜의 스틸 색상을 여러번 드라이 브러싱해서 색칠했습니다. 웬만하면 있는 그대로 만드는 편인데, 꽉 막혀있는 머플러 부품만은 그냥 넘길 수 없었습니다. 핀바이스로 뚫고, 아트나이프로 점점 구멍을 넓혀서 구멍을 만들었습니다. 브레이크 디스크 부품의 은색은 유광 검정을 색칠한 위에 에어.. 2021. 7. 12.
포르쉐 911 카레라4 - Part.1 오랜만의 포스팅입니다. 그동안 건강상 문제도 있고, 무엇보다 비가 너무 잦아서 진행이 더뎠습니다. 중고로 구입한 후지미의 포르쉐 911 카레라4 입니다. 옛날 키트라서 가격도 저렴하고, 형태도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이어서 연습용으로 적당할 듯 했습니다. 키트 구성은 정말 단순합니다. 엔진 재현도 없고 서스펜션도 대충이라서 후륜은 아예 봉을 관통하는걸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가변식 리어 스포일러는 선택식으로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아마도 시리즈 최초로 도입된 특징적인 부분이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2021. 7. 10.
르노 5 알파인 R 르노5알파인은 1971년 첫등장한 르노5를 개량해서 1976년에 등장한 차입니다. 1.4리터 OHV 엔진으로 92마력, 제로백 9.5초를 기록한 핫해치 차량이었다는군요. 흔히 핫해치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폭스바겐 골프GTI이지만 프랑스는 골프 GTI보다 르노5 알파인이 몇개월 먼저 탄생한 것에 자부심을 느끼는 듯 합니다. 이탈레리 자동차 프라모델은 만들어 본 게 몇개밖에 안되지만 별로 좋은 기억은 없습니다. 좋게 표현하자면 상급자용이고... 솔직하게 말하자면 동일 차종의 다른 회사 제품이 있으면 그걸 사는걸 추천합니다. 제작기는 이쪽으로 ☞ Click 2021. 5. 20.
르노 5 알파인 - part 7 전조등이나 방향등 색칠할때 유용하게 써먹고 있는 하세가와의 미러 피니쉬입니다. 말하자면 얇은 은박 테이프지요. 예전엔 연통테이프를 잘라서 썼는데 이쪽이 더 얇아서 지금은 이걸 애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뒷면에 붙이고 다듬으면 은색 도료를 색칠한 것 보다 간단하고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후미등은 조금 더 복잡하지만 그래도 옛날차라서 요즘 차보다는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앞범퍼는 꽤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다행히 검은색 단색입니다. 어째서인지 뒷범퍼 반사등은 투명부품 없이 몰드로만 되어 있습니다. 이부분이 정말 뒷목잡게 한 부분이었습니다. 헤드라이트 부품이 터무니 없이 작아서 전혀 안맞습니다. 혹시 부품번호를 잘못 봤나 확인했지만 헷갈릴만한 다른 부품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튜명부품을 자작.. 2021. 5. 18.
르노 5 알파인 - part 6 설명서에는 아무런 지정이 없지만 실차 사진을 보니 은색 테두리가 있었습니다. 은색 마카로 그을까 하다가 빗나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평범하게 마스킹으로 결정했습니다. 가는 마스킹 테이프로 먼저 시작했습니다. 타미야의 10㎜ 마스킹 테이프를 반으로 잘라서 붙여나갔습니다. 곡면은 마스킹졸을 사용했습니다. 은색은 쿵스의 미러크롬 1액형을 에어브러시로 뿌렸습니다. 광택은 좋은데 좀 헤픈 편입니다. 마스킹을 떼어냈습니다. (사진이 찌그러졌네요) 이 차도 레벨의 자동차 프라모델처럼 앞쪽 유리는 없네요. 아마도 내부를 잘보이게 하려는 의도 같습니다. 뒷유리창 부품의 사이즈가 약간 작아서 붙이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결국 접착제 자국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투명부품 붙일때 잘 쓰고 있는 접착제입니다. 2021. 5. 16.